시스템 디자인

시스템 디자인

샤딩에 대한 이해 (+레플리케이션에 대한 이해)

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 2권의 1장, 근접성 서비스 관련 내용에서 다음과 같은 설명을 보았습니다.지오해시 테이블은 샤딩이 까다로우므로, 면접 시에 이야기하지 않는 것이 좋다. 샤딩 로직을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구현해야 하기 때문이다.??? 사실 잘 이해가 되지 않아요.. 지오해시 테이블은 왜 샤딩이 까다로운지, 샤딩 로직을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구현해야 한다는 것이 무슨 소린지. 아 애초에, 사실 샤딩 자체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지 못한 것을 깨달았습니다.샤딩에 대한 이해로부터, 일반적인 샤딩이란 어떤건지, 그래서 왜 지오해시 테이블은 샤딩이 까다로운 건지 이해해보고 싶어졌습니다.내가 아는 샤딩이란?이곳저곳에서 주워 들어 이해한 바로는, 여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같은 스키마 구조를 ..

시스템 디자인

내가 만든 게시판 서비스의 사이트 접속 속도가 사용자가 늘면서 점점 느려진다. 어떻게 해야할까?

제목 그대로의 문제 상황에 맞닥뜨렸다고 가정해 보자. 이러한 서비스의 성능을 개선해야 할 때 고려할 수 있는 방식은 정말 많을 것이다. 그 중 어떤 방식이 성능을 개선하는데 큰 영향을 줄 수 있을지 고민해보고, 각 개선안에 장단점을 비교해보자.이는 오직 백엔드 개발 관점에서 생각하고 작성한 글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는데엔 프론트엔드 측면이나, 정책적인 변경 등 다양한 해결책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자.페이지네이션만 잘 적용해도 성능이 상당히 좋아질 질 것 같은데? 처음부터 어렵게 접근하지 말고, 아주 단순한 게시판 서비스라고 생각해보자. 게시글이 늘어날 수록 처음 게시글 목록의 가짓 수도 늘어날텐데, 만약 페이지네이션이 적용이 되어있지 않고, 모든 게시글 데이터를 읽어오는 상황일 수..

sjoonb
'시스템 디자인' 카테고리의 글 목록